Lenovo와 같은 주요 서버 벤더를 소개하기에 앞서, 최근 VMware 라이선스 정책 변화가 서버 가상화 시장에 큰 파장을 주고 있어, 해당 이슈를 먼저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국내 서버 시장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성장률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VMware의 라이선스 정책 변화로 인해 시장 분위기가 복잡하게 요동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VMware의 영구 라이선스(perpetual license) 기반 제품을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도입할 수 있었지만, Broadcom 인수 이후 구독형(subscription) 모델로 완전 전환되면서 라이선스 비용이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참고로 한국은 아시아 시장 내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주요 시장 중 하나입니다.
이제 많은 기업들이 "가상화가 여전히 최선의 선택일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으며, 특히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안 기술(HCI, 오픈소스 가상화 등)을 검토하는 흐름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환기 속에서 서버 벤더들이 어떤 기술 및 정책적 대응을 보일지, 굉장히 궁금해지네요!
1. Lenovo 기본 정보
회사명: Lenovo Group Limited
본사: 중국 베이징
설립: 1984년
산업 분야: PC, 서버·스토리지, 워크스테이션,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글로벌 PC 시장 점유율: 출하량 기준 약 23.5% (IDC 기준, 2024년), 시장 점유율 기준 약 25.5% (Gartner 기준)
기업개요 : 소비자 전자 제품 및 관련 디지털 서비스의 소매 및 서비스 사업, 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소유권, 라이선스 및 판매,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도 관여
사업내용 : 중국의 IT기업으로 시작하여 민영화 진행, 현재 홍콩거래소 등 상장 경쟁사 : HP, LENOVO, IBM, HITACHI 등(품목에 따라 다소 상이) 글로벌 PC시장 점유율 1위 (렌샹집단유한공사, HP 18.9%, 렌샹집단유한공사 애플9.8%, 아수스7%)
📌인사이트 Lenovo는 ‘Pocket-to-Cloud’ 전략을 통해 단순 PC 공급사를 넘어, 데이터센터, 서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및 AI 기반 인프라를 통합 제공하는 글로벌 벤더입니다.
2. Lenovo 유한회사
LENOVO 한국 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211 (역삼동) 한국고등교육재단빌딩 12층
LENOVO코리아 고객지원센터: 1670-0088 / 서버 및 스토리지 문의 : 080-835-0077
재무건전성 : 영업현금흐름 및 이익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안정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지속적인 AI 인프라 투자(총 22억 달러 규모)와 함께, 효율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 중
📌인사이트 Lenovo는 AI 인프라와 서비스형 공급 모델(TruScale) 중심으로 수익 구조를 고도화하고 있으며, 비-PC 제품 비중 확대(47%), ISG 부문 고성장(59%)을 통해 기술 역량과 공급 안정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단순 장비 공급을 넘어 AI 시대에 적합한 인프라 파트너로 검토할 만한 벤더로 평가되며, 기술 지원·비용 유연성·공급 안정성 측면에서 실무적 검토 가치가 높은 기업입니다.
4. 교육 및 파트너 프로그램
Lenovo Partner Hub 및 Lenovo 360 플랫폼 운영
제공 항목: 제품 교육, 영업/마케팅 툴, 리베이트 정책, Cloud Sales Certification, Virtualization 기술 인증, VMware, ThinClient, Citrix 등 가상화 인프라 기술 교육 제공
파트너 정책
커머셜 총판 (Commercial): 기업 및 공공 기관 대상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워크스테이션, 데스크탑/노트북 등 인프라 중심 제품 유통
컨슈머 총판 (Consumer): 일반 소비자 대상으로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등 개인용 디바이스 유통
레노버는 AI PC를 단순한 신기술이 아닌 “AI 활용 중심의 비즈니스 도구”로 정의하며, 기업 고객의 AI 도입을 가속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 중입니다. 특히, 인텔·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하여 ‘Copilot+ PC’ 모델 중심으로 AI 워크로드 최적화 환경을 구현하고 있으며, 국내외 B2B 도입사례 확대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 9월 베를린에서 열린 Lenovo Innovation World 2025에서, 레노버는 “Smarter AI for All” 전략을 중심으로 AI 기반의 혁신 제품군을 대거 공개했습니다. 여기에는 AI 탑재 ThinkPad 워크스테이션, Legion 게이밍 기기, AI 탑재 태블릿, Motorola 스마트폰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마치며,
레노버는 국내에서 서버 시장 3위권 벤더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버 장비 특성상, 한 번 도입하면 유지보수와 운영 이슈로 인해 장기적으로 종속되는 경우가 많아, 노후 연한이 지나더라도 쉽게 교체하기 어려운 현실도 있습니다.
다만 레노버는 2017년부터 AI 인프라에 약 12억 달러(1조5800억 원)를 투자해왔고, 작년에는 향후 3년간 10억 달러(1조3200억 원) 추가 투자 계획을 밝히는 등 AI 기반 인프라 분야에서의 입지를 빠르게 강화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앞으로 시장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는 지켜봐야겠지만, AI, GPU 수급, 가상화 라이선스 전환 등 다양한 이슈들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만큼, 기술 대응력과 장기 파트너십 관점에서의 판단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그동안 분석한 HP, DELL, Lenovo 를 종합적으로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