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매 시스템 사례 #13, 지속적인 내/외부 환경 변화에도 흔들림 없이 구매업무 생산선 강화!
  • 시스템
  • 인터뷰
  • 연차무관
  • 산업공통
28 0 0
엠로 20시간전
  • 0

📌 WHO

전자 제조 산업 S

 

전자 제조 산업을 선도하는 S사는 2014년부터 자체 구매 솔루션을 활용해 그룹사 차원의 구매 업무를 수행해왔습니다그러나 사업 영역이 확대되면서 구매 품목이 늘어나고 협력사 관리가 복잡해졌는데요여기에 더해 계열사마다 상이한 시스템과 운영 방식을 유지하다 보니그룹사 전반의 구매 현황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고협력사 관리 역시 일관성 있게 대응하기 힘든 한계가 있었습니다.

 

또한 2023년 하도급법 개정과 온라인 계약 환경 확산으로 인해기존 시스템만으로는 변화된 정책·환경에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고계약발주·협력사 관리가 기능별로 분산되어 발생하는 비효율도 점차 누적되며구매 경쟁력 강화를 가로막는 주요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S사는 2020년과 2023년 두 차례에 걸쳐 구매시스템을 재구축 및 고도화했습니다공정거래 관리와 협력사 가시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전자계약 내재화납품대금 연동제 관리데이터 기반 협력사 정보 통합 등 다양한 기능을 마련했습니다

 

그 결과 그룹사 전반의 구매 효율성과 공정거래 대응 역량이 크게 향상되었으며소수 인력으로도 체계적인 협력사 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지금부터, S사가 어떻게 변화하는 구매 환경 속에서 통합 시스템을 통해 혁신을 이끌어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8396889

 

📌 Challenges 

/외부 구매 환경 변화에 따른 그룹사 전반의 시스템 기반 대응 능력 필요

 

사업 영역 확장에 따른 구매 품목 및 협력사 관리 복잡성 증가

전자제조업체 S사는 2014년 구축한 구매 솔루션을 기반으로 업무를 진행해왔습니다하지만 사업 영역이 점차 확대되면서 취급하는 구매 품목이 늘어나고 협력사 관리의 복잡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이 과정에서 모회사와 계열사가 각각 별도의 구매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니그룹사 전반의 구매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고전체 협력사 관리에 있어 통합적이고 일관된 대응이 제한되는 한계가 존재했습니다.

 

하도급법 개정온라인 기반 업무 증가 등 구매 환경 변화에 대응 필요성 증가

2023년 들어서는 하도급법 개정과 같은 정책 변화와 더불어다양한 웹 브라우저(Edge, Chrome, Internet Explorer 11, Whale )를 활용하는 온라인 계약 환경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이에 따라 S사는 기존의 구매 솔루션만으로는 변화된 외부 환경과 온라인 기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충분히 지원하기 어려워새로운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 고도화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기능별 분산된 시스템 및 계열사 별 상이한 구매 운영 방식으로 인한 비효율 발생

그룹사 내에서는 기능별로 분산된 시스템과 계열사마다 다른 구매 운영 방식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이로 인해 동일 그룹 내에서도 통합된 기준으로 구매 현황을 관리하기 어렵고시스템 간 단절로 인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업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이러한 비효율성은 그룹 전체의 구매 경쟁력 강화에도 걸림돌로 작용했습니다.

8397563

📌 Our Solution 

공정거래 관리 및 협력사 가시성을 강화한 구매 통합 시스템 그룹사 확산

 

S사는 2020년과 2023년 두 차례에 걸쳐 구매시스템을 재구축하고 고도화하면서그룹사 차원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구매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업무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습니다또한 다양한 협력사 관리 기능을 추가하여 협력사 관리 체계를 한층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엠로는 S사와 계열사의 구매 프로세스 전반을 온라인으로 전환하고단일 시스템 상에서 구매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였습니다특히 기존에 별도의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던 전자계약 업무를 구매시스템에 내재화하였으며다양한 형태의 계약 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편집 기능을 도입해 온라인 계약 업무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 하반기 시행된 하도급법 개정안에 대비하여구매시스템을 통해 견적 의뢰 단계에서 협력사에게 자동으로 납품대금 연동제를 안내하고 연동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후속 관리 프로세스를 구현하였습니다이와 더불어 그동안 분산 관리되던 공급가 실적 분석거래 협력사 정보 등 구매와 관련된 주요 데이터를 구매시스템 상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환경도 마련하였습니다.

 

 

📌 Results 

구매 효율성 제고 및 공정거래 리스크 대응 역량 강화

 

구매요청~발주 발행까지의 리드타임 단축

기존에는 구매요청 접수, 발주서(PO) 발행계약 체결까지의 과정이 각각 별도의 수단으로 분산되어 진행되었습니다이로 인해 단계별 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업무 단절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새롭게 구축된 온라인 기반 구매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프로세스를 한 시스템 내에서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전체 업무 리드타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최소한의 구매 담당 인력으로 다양한 품목 및 협력사 관리 업무 효율성 강화

이전에는 협력사별 공급 품목거래 이력실적 등을 개별적으로 확인해야 했기 때문에 관리에 많은 인력이 필요했습니다그러나 구매시스템을 통해 협력사 정보 등록과 협업 관리가 가능해지면서소수의 구매 담당자만으로도 수많은 협력사의 다양한 품목을 빠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협력사 선정 투명성 확보납품대금 연동 적용 등을 통한 공정거래 리스크 최소화 

과거에는 협력사 선정 과정이나 납품대금 연동 관리가 체계적으로 기록·관리되지 않아 공정거래 측면에서 리스크가 존재했습니다새 구매시스템에서는 구매 유형에 적합한 입찰 방식을 활용해 협력사를 투명하게 선정할 수 있고납품대금 연동제 관련 업무도 시스템 상에서 빈틈없이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이를 통해 공급망 전반의 투명성이 높아지고 공정거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 담당자의 한마디

8396891

엠로는 요구사항 반영과 개발을 담당하는 개발자와 PM이 실무 프로세스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구매 실무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성은 변화하는 구매 환경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업무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Next plan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되지 않았습니다만향후 추가적인 기능 고도화나 AI 솔루션 도입 계획이 생긴다면엠로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해드릴 예정입니다.

작성 칼럼 전체보기

엠로 | 엠로 기업

세계를 움직이는 국내 1위 AI기반 기업용 공급망관리 디지털 혁신 소프트웨어 Provider, 엠로의 인사이트를 담은 전 세계 SCM 트렌드와 고객사례를 확인하세요.
구매/SCM 구매 시스템, 정보시스템개발, SRM구축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지금, 바이블에 로그인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확인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현업 구매담당자의 인사이트가 매주 업데이트 돼요.
4천여명의 구매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
환율,원자재 등 글로벌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