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어음 대신 구매카드? 구매담당자라면 알아야 할 구매카드 간단 정리!
  • 구매실무
  • 연차무관
  • 산업공통
59 0 0
  • 0

IT회사에서 근무하며 경험을 쌓아가고 있는 회사원입니다. 오늘은 거래처 대금지급 방식 중 하나인 ‘구매카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입사 초기, 거래처에 대금을 구매카드로 지급한다고 했을 때 “그게 뭐지?” 싶었던 기억이 납니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특히 대기업과의 거래에서 이런 지급 방식을 처음 접하면 조금 낯설 수 있겠더라고요. 저 역시 그랬습니다.

 

 

구매카드란?

간단히 말하면, 구매카드는 기업 간(B2B) 거래에서 카드사를 통해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우리카드 같은 카드사들이 자사 계열사 또는 일반 기업의 구매대금을 카드사에서 먼저 결제해주고, 해당 기업은 나중에 카드사에 일괄 상환하는 구조입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대금지급 시점을 유예할 수 있어서 자금 흐름에 여유가 생기고, 거래처는 카드사를 통해 먼저 대금을 받을 수 있어서 현금화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음이랑 뭐가 다를까?

예전에는 어음을 많이 썼지만, 어음은 ‘결제하겠다’는 약속일 뿐이고, 실제 돈을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한 경우도 있었어요. 반면 구매카드는 카드사가 지급을 보증해주니까, 공급업체 입장에서는 매출 안정성 측면에서 더 낫다고 볼 수 있죠.

 

물론 수수료는 붙습니다. 어음은 소액의 발행료가 드는 정도지만, 구매카드는 0.5~2.5% 수준의 카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어요. 그래서 거래처마다 이걸 꺼려하는 경우도 있고요.


 

우리은행 구매전용카드 소개

 *출처 : 우리은행

 

구매담당자가 알아야 할 유의점

① 수수료 협의 필요

카드사나 거래 규모에 따라 수수료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미리 카드사와 조건을 협의해놓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② 공급업체가 구매카드를 수용하는지 여부

모든 업체가 구매카드를 받아주지는 않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경우 수수료 부담을 꺼릴 수 있으므로 사전에 협의가 꼭 필요합니다.

 

③ 회계처리 방식 확인

카드사에 따라 이 거래가 ‘매출’로 잡히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는데, 이건 회계나 세무적으로 이슈가 생길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해보는 게 좋습니다.

 

④ 사내 규정 마련

구매카드를 사용하려면 내부 결재 기준, 한도, 책임자 지정 등도 체계적으로 마련해두어야 하겠습니다.

 

 

앞으로의 활용 방향

최근엔 카드사에서 공공기관용 구매카드기업 맞춤형 구매카드 등 다양한 상품을 내놓고 있고, ERP 연동, 전자 세금계산서 자동처리,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도 많이 발전하고 있네요. 

 

처음엔 생소할 수 있지만, 잘 활용하면 기업 입장에서나 공급처 입장에서나 윈윈할 수 있는 결제 방식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매출도 중요하지만 법인카드 혜택 등 카드사 비교를 통해 추가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메리트도 보이구요. 

 

구매카드는 구매팀 실무자 입장에서 또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 알아두면 유용할 것 같습니다.

 

 

이 주제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 발전된 컨텐츠로 보답하는 바이블이 되겠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바이블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작성 칼럼 전체보기

외향적인 머그컵 | 유경식 칼럼니스트

가볍게 발을 들였으나 성격상 끝장을 보고 있는 사나이 운동하는 회사원
IT DT,EPC,신사업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지금, 바이블에 로그인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확인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현업 구매담당자의 인사이트가 매주 업데이트 돼요.
4천여명의 구매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
환율,원자재 등 글로벌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