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4
현업 구매담당자의 인사이트가 매주 업데이트 돼요.
4천여명의 구매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
환율,원자재 등 글로벌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4천여명의 구매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
환율,원자재 등 글로벌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첫 칼럼부터 좋은 글이네요. 구매의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가 아닌가 싶습니다.
+ 각 부서의 Mission만을 고집하지 않고 고객만족을 위해 최적의 솔루션을 빨리 찾아가는 조직문화 및 구조의 변화가 시급하다고 생각 합니다.
같은 고민이 많으신가 봅니다. 구매가 사업을 리딩하는 조직문화가 널리 전파되면 좋겠네요.
늘 신제품이 나올때 마다 겪는 진통이네요. 매년 겪는 진통이지만 한 한번도 피해갈 수 없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신제품은 항상 산고의 고통이 있지요. 아시죠? ‘피할수 없다면 즐겨라’ 같은 구매인으로 즐기는 방법을 찾아보시죠

구매부서에서 ESI, EPI 등 조기 참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완성품 업체와 부품공급사 간의 눈높이 차이를 분명하게 인식하는 과정을 Process화하여 활동을 진행한다.
이종 산업 간의 산업환경 분석, 이종 산업별 시장의 요구 Spec.의 Tolerance(허용범위), 신뢰성 범위, 시장의 애프터 마켓 등 공유의 장을 마련하여 서로 간의 눈높이 괴리를 줄이고 상향평준화 활동을 진행한다.
개발일정 준수 및 이종 산업간 품질 조기 확보를 위해서는 구매부서 주도로 연구소-구매부서-품질-협력사를 관통하는 Cross-Functional Task 활동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부서장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추가로 CFT조직을 별도 조직으로 구성할 수 있다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