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매위키] 적재율, 성과지표, 카탈로그, 반제품 재고
  • 구매실무
  • 이슈/전망
  • 연차무관
  • 산업공통
108 0 0
바이블팀 2025.04.14
  • 0
8058321

📌오늘의 트렌드노트, 10분이면 이런 내용을 알 수 있어요!

     자주 쓰는 구매용어들! 적재율, 성과지표, 카탈로그, 반제품 재고

  

구매위키는 구매 관련 용어와 예시를 시리즈를 통해 알려드립니다. 오늘은 물품 구매를 하면서 접할 수 있는 구매 용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을 보시면 구매업무를 하면서 마주하는 여러 용어에 대한 개념을 “아하! 이런 뜻이었구나!😮” 하며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되실 거예요. 지금부터 함께 살펴볼까요?


8058322
8058309

적재율이란, 트럭이나 컨테이너 같은 운송 수단에 화물을 얼마나 ‘꽉’ 채워 실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이 비율은 보통 중량 기준이나 부피 기준으로 계산돼요. 예를 들어, 트럭 최대 적재 중량이 5톤인데 실제로 4톤만 실었다면 적재율은 80%가 되는 거죠. 적재율이 높을수록 운송 단가가 줄고, 물류비 효율도 좋아져요. 반대로 적재율이 낮으면 공간이나 비용이 낭비된다는 뜻이에요.

. . .

 

👀식음료 회사에서 생수를 출고한다고 가정한다면?

 

가령 한 식음료 회사에서 2L 생수 6병이 들어있는 한 박스를 출고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회사는 5톤 트럭을 이용하고, 트럭 하나엔 최대 2,500박스를 실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배송엔 주문량이 적어 1,250박스만 실었다면, 적재율은 50%입니다. 즉 나머지 공간은 빈 채로 간 거죠.

 

이런 경우 트럭은 한 번 움직였지만, 비용은 두 번 나간 셈이라 손해가 됩니다. 그래서 실무에선 이런 부분들을 방지하려고 출고 일정을 조정하거나, 같은 방향의 다른 제품들(예: 음료수, 물티슈 등)과 함께 실어서 ‘혼적’으로 보내는 전략을 쓰게 됩니다. 적재율이 올라가면 그만큼 운송비도 절감되니까요.

 


8058323
8058310

 

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는 공급망 관리에서 중요한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예요.

 

쉽게 말해, 우리가 목표를 잘 향해 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길잡이’ 같은 역할을 하죠. 


구매 업무에서는 원가 절감, 납기 준수율, 품질 불량률 같은 숫자로 성과를 평가하는데, 이를 통해 개선할 부분을 찾아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요. KPI는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하고, 측정이 가능해야 하며, 실제 업무와 연관성이 높아야 효과적이에요.

 

. . .

 

👀KPI를 납기준수율 유지로 잡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A회사의 구매팀은 납기 준수율(OTD)을 95% 이상 유지하는 KPI를 설정했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발주한 반도체 칩 100개 중 90개만 제때 도착하고 10개는 늦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OTD는 90%로, 목표(95%) 보다 낮아진 샘이죠.

 

다양한 원인들이 있겠지만, 공급업체의 생산 지연, 물류 문제, 부품 부족 등이 가능성을 거예요.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매팀은 공급업체와 리드타임 조정, 물류업체와 협력, 예비 재고 확보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처럼 KPI를 활용하면 단순히 "문제가 발생했네?"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어떤 부분이 부족하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까지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결국, KPI는 공급망을 최적화하고,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니까요.

 


8058324
8058308

✅ 카탈로그란,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정리해둔 목록이에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고르는 것처럼, 기업에서도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품목 리스트(카탈로그)를 보고 필요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죠.


특히 기업에서는 "전자 카탈로그(e-Catalog)"를 많이 활용하는데, 구매 담당자가 원하는 제품을 빠르게 찾고, 표준화된 정보를 바탕으로 손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 .

 

👀회사에서 노트북을 구매해야한다고 가정한다면?

 

일반적인 방식이라면 여러 공급업체에 문의해 제품 리스트를 받고, 가격 비교도 해야 하고, 사양도 하나하나 따져봐야 합니다. 하지만 카탈로그 시스템이 있다면 훨씬 간편해지는데요.

 

예를 들어, 공급업체 A는 "전자 카탈로그(e-Catalog)"를 제공한다고 한다면 여기에 Dell XPS 15, HP EliteBook 840, Lenovo ThinkPad X1 Carbon 같은 제품들이 가격, 사양, 재고 여부와 함께 정리되어 있을 겁니다. 그럼 구매 담당자는 이 목록에서 필요한 제품을 쉽게 검색하고, 회사 내부 규정에 맞는 노트북을 선택한 뒤 승인 절차를 거쳐 바로 구매할 수 있는거죠. 또, 사전에 계약된 가격이 적용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가격 협상 없이 빠르게 조달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구매 담당자는 이 목록을 보고 필요한 노트북을 선택하고, 승인 절차를 거친 후 구매를 진행하죠. 이렇게 하면 공급업체와 가격 협상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되고, 기업 내부 규정에 맞는 제품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8058325
8058306

✅ 반제품 재고(WIP Inventory)란, 생산 과정에서 완전히 완성되지 않은 중간 단계의 제품을 의미해요. 

 

원자재가 가공을 거쳐 완제품이 되기 직전 단계에 있는 제품들이죠. 쉽게 말해, 공장에서 작업 중이지만 아직 포장돼서 출하될 준비가 안 된 물건들이라고 보면 돼요. 


구매팀이나 생산관리팀에서는 반제품 재고를 잘 관리해야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공정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어요.

 

. . .

 

👀자동차 제조업체로 예를 들면?

 

자동차 한 대를 만들려면 차체, 엔진, 변속기, 내장재, 바퀴 등 여러 부품이 필요한데요. 만약 엔진과 바퀴를 장착하지 않은 차체가 도색까지 끝난 상태로 공정 라인에 있다면, 이게 바로 <반제품 재고>입니다.

 

예를 들어, H사의 아산공장에서 A자동차를 생산 중인데 엔진 공급업체에서 부품이 늦게 도착해 엔진 미장착 상태로 차체가 대기 중이라면, 이 반제품 재고가 늘어나게 되죠. 이럴 경우, 반제품이 너무 많아지면 공정 흐름이 막혀 생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구매 담당자는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협력사의 납기 관리를 철저히 하고, 필요하면 대체 공급선을 확보하는 등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7706840

이 주제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 발전된 컨텐츠로 보답하는 바이블이 되겠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바이블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구매용어를 함께 쓴 칼럼 읽어보기

🔗물류 용어Zip_ #32 혼재(Consolidation)

🔗재료비 절감 실적은 어떻게 측정하고 계신가요?

🔗구매부서 성과를 재무적 관점으로 연결한 평가기법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지금, 바이블에 로그인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확인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현업 구매전문가의 폭넓은 인사이트가 매주 업데이트 돼요.
300만개의 기업의 신용, 재무정보를 무료로 확인할 수 있어요.
2천여명의 구매 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