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BUYBLE

인사이트

asdf object(stdClass)#324 (12) { ["access"]=> bool(true) ["is_admin"]=> bool(false) ["manager"]=> bool(false) ["is_site_admin"]=> bool(false) ["root"]=> bool(false) ["list"]=> bool(true) ["view"]=> bool(true) ["write_document"]=> bool(false) ["write_comment"]=> bool(false) ["vote_log_view"]=> bool(false) ["update_view"]=> bool(false) ["consultation_read"]=> bool(false) }
구매칼럼
2023.11.23
292 14 2

권오경님_원가절감.png

 

안녕하세요? 오늘 이야기해 보고 싶은 내용은 재료비 절감의 실적 측정과 관련한 내용입니다. 다른 칼럼니스트분들의 구매칼럼에서 몇 번 다뤄진 적이 있는 주제인데, 저 또한 제가 일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함께 나누고 더불어 독자분들의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구매부서의 KPI(Key Performance Index)라고 하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기타 유관부서에서 기대하는 가장 직관적인 실적은 구매 재료비 절감 실적일 것입니다.

 

재료비 부분에서의 원가절감 성과가 제품이나 사업의 이익률에 미치는 승수 효과가 크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보니, 구매부서의 가장 큰 역할은 재료비 절감에 있다고 보는 시각이 많으며 실제로 구매부서에서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해 최저가 또는 최적의 가격으로 자재 및 부품을 구매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노력한 만큼의 재료비 절감 결과를 성과지표로 개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1. 재료비 절감 기준 산정의 어려움

첫 번째 어려움은 절감의 기준이 되는 재료비의 가격을 설정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볼 때 재료비 절감의 가격 기준은 아래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재료비 절감 가격 기준

1. 시장 가격

2. 종전 가격

3. 목표 가격


먼저, 시장에 통용되는 상용 자재의 경우에는 시장 가격이란 것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규격과 성능에 맞춰 특별하게 제작하는 시방 자재의 경우에는 시장 가격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반복적으로 구매할 경우에는 종전에 구매했던 가격을 참고하게 됩니다. 종전 가격의 기준은 단기적인 절감 목표를 가질 수는 있지만 한계 원가라는 것이 존재하므로 매년 종전 가격 대비 일정 비율의 절감률을 목표로 가져가는 것은 얼마 지나지 않아 불가능해질 것입니다.

 

그리고 특별하게 제작하지만 전에 구매해 본 적이 없는 자재, 다시 말해 개발 구매에서 주로 다루는 품목들은 먼저 언급했던 시장 가격이나 종전 가격이 존재할 수가 없으므로 목표 가격을 설정하게 됩니다.

 

목표 가격은 해당 사업의 성격에 따라 시장에서 팔리거나 입찰에서 경쟁사의 제출가격을 이길 수 있는 사업 판가를 예측하고 거기서부터 이윤과 노무비, 경비의 할당을 조정하여 Top-down 방식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와 같이 일반적으로 세 가지의 가격 기준과 구매해야 하는 자재의 특성을 매칭하여 절감 가격의 기준을 설정하게 되는데, 각각의 기준 가격 별로 얼마만큼의 절감 금액 또는 절감률을 가져가는 것이 적정한 성과인가에 대한 판단 기준 또한 다르므로 간단히 '전년도 대비 00억 절감 또는 00% 절감'이라고 단순 계량화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권오경님_원가절감2.png

 

#2. 기여도 측정의 어려움

재료비 절감 실적 측정의 두 번째 어려움은 재료비 절감이 회사의 발전에 기여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구매 부서의 노력으로 인해 종전 가격 대비 또는 목표 가격 대비 큰 폭의 재료비 절감을 이루어 냈더라도 사업 관리 담당자가 여유가 생긴 예산을 갑작스럽게 발생한 사업 상의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경비나 노무비의 부족분을 메꾸는데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사업의 손익에 재료비 절감액이 녹아들어 이익의 증대에 기여한 부분을 찾아내기 어려워집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를 운영하는 기업에서 비용과 손익의 관계가 왜 명확하게 보이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 이해관계자의 필요로 인해 명확하게 보이지 않게 관리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후 비용 정산을 하는 장기적인 프로젝트성 수주 사업의 경우, 재료비를 절감하는 노력이 결과적으로 회사의 매출액을 줄어들게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최저의 가격보다 품질, 납기, 회사 매출의 보전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한 최적의 가격을 더 중요시하는 기조도 일부 산업군의 기업에서는 존재하기도 합니다.

 

 

여러분들의 회사에서는 어떻게 재료비 절감 실적을 계측하고 계신가요?

실적 집계 및 성과를 인정받는 데에는 어떤 어려움이 있나요?


각 산업군에서 재료비 절감 업무를 대하는 방법을 공유하다 보면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착안점을 서로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줄.png

 

이 주제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 발전된 컨텐츠로 보답하는 바이블이 되겠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바이블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작성 칼럼 전체보기

외향적인 책장

권오경 칼럼니스트
방산업체에서 영업, 마케팅, 전략기획을 거쳐 구매팀에 근무중 구매학 박사과정에 있으며 학계·산업계의 구매 이슈를 나눕니다.
전기·제조 구매 개발·기획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지금, 바이블에 로그인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확인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현업 구매전문가의 폭넓은 인사이트가 매주 업데이트 돼요.
300만개의 기업의 신용, 재무정보를 무료로 확인할 수 있어요.
2천여명의 구매 담당자와 함께 소통할 수 있어요.
위로